주식

우리금융지주 배당 자제령, 배당금을 줄인다고?(+배당금 용어)

ONE7 2021. 2. 9. 22:08

우리금융지주 배당 자제령, 배당금을 줄인다고? 

금융위원회가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에게 배당 자제령을 내렸습니다. 이게 무슨 소리냐면 쉽게 말해 투자자들에게 배당금을 작게 줘라라는 뜻입니다. 금융지주 주식들은 배당금 보고 투자하는 건데 배당금을 줄이라니 이게 뭔 날벼락일까요. 

일단 배당 자제령은 한시적인 것이라고 합니다. 배당금을 한시적으로 순이익의 20% 이내에서 실시하도록 권고 하였습니다. 그랬을 경우 금융지주사마다 소액주주 즉, 개미 투자자들의 피해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주사 배당 제한 따른 소액주주 피해액
지주사 배당성향
20%(원)
소액주주
비율
추정액
(억원)
신한 1324 22.0% 376
KB 1770 13.3% 280
하나 1850 9.6% 135
우리 362 10.5% 96
합계     887

금융지주 배당 자제령



배당금 용어 정리

배당 :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영업활동을 해 발생한 이익중 일부를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

배당금 : 주주에 대한 회사의 이익분배금

배당성향 :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 총액의 비율 (배당지급률 or 사외분배율)
예) 당기순이익 1백억 원 중 배당금으로 20억 원이 지급됐다면 배당성향은? 20%이다. 

배당성향이 높다 → 재무구조 악화의 요인

배당성향이 낮다 → 사내유보율이 높고, 다음 배당 증가나 무상증자의 여력이 있다. 

But, 투자가치로 봤을 때 배당성향이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게 좋습니다. 왜냐하면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에게 많이 돌려준다는 뜻이라서 그렇습니다. 

 

배당 자제령이란?

배당 자제령은 "코로나 19 위기 극복을 위해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어쩔 수 없는 조지였다"라고 합니다.

여기에 윤두현 의원님이 아주 속 시원하게 한마디 해주네요. "은행의 배당을 제한하는 것은 주주, 특히 소액주주들에 대한 재산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말이죠

대부분 소액주주분들이 금융지주 관련주에 투자할 때는 주가의 시세차액보다 높은 배당금을 보고 투자하는 경우가 훨씬 많을 겁니다. 그런 게 배당 자제령이라니 정말 이건 재산권 침해 아닌가요.


2020년 금융지주 배당금은?

우리 금융지주 배당금

우리금융지주 배당금 내역

우리금융지주의 20년도 배당금에 대한 정보는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19년도 배당금 내역을 봤을 때 배당성향은 27%에 시가배당률 6.03%로 금융지주답게 시원시원한 배당률로 지급되었습니다.

 

하나금융지주 배당금

하나금융지주 배당금 내역

배당성향 25.78% 우리 금융지주보다는 약간 낮습니다. 시가배당률은 5.69%로 우리금융지주보다는 낮지만 그래도 금융지주답게 6% 수준으로 지급하였네요. 

 

 

KB금융지주 배당금

KB금융지주 배당금

배당성향 26% 우리 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와 비슷한 수준이네요. 하지만 시가배당률은 1%이상 낮습니다. 시가배당률이 낮다고 적게준다고 생각하면 안되고 KB금융지주의 주가와 배당금액을 같이 봐야 합니다. 

배당금액이 우리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보다 월등히 높기 때문에 시가배당률은 낮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신한금융지주 배당금

신한금융지주 배당금

신한금융지주는 KB금융지주와 비슷한 수준으로 지급하였습니다. 배당성향 25.97%에 시가배당률 4.27% 네요. 

 

마치며

배당 자제령과 배당 용어, 우리 금융지주 배당금, 하나금융지주 배당금, KB금융지주 배당금, 신한금융지주 배당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9년도 기준으로 금융지주 기업들의 평균 배당성향이 25~26%로 지급되었습니다. 

이번 배당 자제령으로 인해 20%로 감소될 경우 배당금의 차이가 크게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정확하게 배당금 내역이 공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번 계기로 금융지주사들이 주가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